Elasticsearch(엘라스틱서치)

[Elasticsearch, Kibana] 엘라스틱 서치, 키바나 로컬 환경에 구축하기

yong_zz 2020. 11. 30. 21:29

안녕하세요, 

 

Window 10에 Elasticsearch, Kibana를 로컬 환경에 구축하는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대부분 Elasticsearch를 ELK라고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세개를 한번에 사용을 하는데

 

저는 logstash가 무겁고, 사용하기 번거로워서 직접 데이터 수집 & 색인을 진행을 하기때문에 logstash는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Elasticsearch, Kibana 개발환경 구축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해당 글에서는 7.9.0 버전을 설치하겠습니다.

 

 

 

엘라스틱 서치, Kibana 다운로드 URL 

 

www.elastic.co/kr/downloads/past-releases#elasticsearch

 

Past Releases of Elastic Stack Software | Elastic

View the detailed release notes here.

www.elastic.co

위 URL을 접속을 해보시면 아래와 같은 page로 접속이 됩니다.

 

 

여기서 주의 하실점은 Elasticsearch와 Kibana 버전을 동일하게 맞춰서 다운로드 해줘야합니다.

 

셀렉트 박스를 kibana로 변경하시면 키바나 다운로드 페이지로 변경이 되는데 귀찮으신 분들은 아래 URL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www.elastic.co/kr/downloads/past-releases#kibana

 

Past Releases of Elastic Stack Software | Elastic

View the detailed release notes here.

www.elastic.co

 

Elasticsearch와 Kibana를 동일한 버전으로 다운로드를 다 하셨으면 압축파일을 C드라이브로 옮겨주세요 압축 해제시 파일명이 길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C드라이브에 압축파일을 이동시켰으면 위와같이 압축파일을 풀어주세요.

 

 

 

압축 해제가 완료가 되었으면 C:\elasticsearch-7.9.0\bin 경로로 이동하여 아래와같이 입력하여 elasticsearch를 실행을 해주세요.

 

C:\elasticsearch-7.9.0\bin 경로에 elasticsearch.bat 파일을 실행 시켜도 되지만 혹시나 발생하는 오류 로그를 확인을 못하여서 cmd로 실행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엘라스틱서치랑, 키바나는 다른 설정(config)파일을 건드리지 않고 기본환경으로 실행을 해도 됩니다.

 

 

위와 같이 실행을 하고 http://localhost:9200/ 으로 접속을 하면 

이와같이 JSON형태로 Elasticsearch 정보를 출력을 해줍니다.

 

그 다음에는 키바나를 실행을 시켜주면 됩니다.

 

 

실행 후 http://localhost:5601 로 접속을 하면

 

 

이와 같은 웹페이지가뜨면 문제없이 Elasticsearch와 Kibana가 세팅이 된것입니다~~

 

다음에는 형태소분석기 nori 플러그인을 엘라스틱서치에 적용하는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